서브넷(Subnet)이란?

서버에 IP 할당시, 이론상 사용가능한 주소는 각 망마다 255*255*255*255로, 약4조가 넘어간다. 그러나 어떠한 주소 하나를 찾아갈때마다 4조개가 넘는 IP를 일일히 검색해 목적지를 탐색하다보면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그래서 우리는 각 네트워크를 '클래스'라는 단위로 구분하게 된다.

서브넷은 가용 IP 범위에 따라 A, B, C클래스로 구분된다. 각 클래스는 8비트 단위로 구분되며, 비트이기 때문에 각 클래스는 0과 1로 치환 가능하다. 즉, 각 비트가 취할 수 있는 형태가 0과 1이라는 소리다. 각 클래스당 비트가 총 8개니까 2^8=256. ip는 0부터 시작할 수 있으므로 서브넷이 취할 수 있는 숫자가 255까지인 것이다.

예시를 들어보자.

ifconfig 결과이다. 지워진 부분은 외부로 개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이더넷이다. 이더넷 부분을 보면 netmask에 255.255.255.0이라고 되어있다. 즉 서브넷 255.255.255.0 == 11111111.11111111.11111111.0 이라는 소리다. 1이 꽉찬 8비트가 세개이므로, 이 서브넷은 24비트. 만약 이 서브넷 그대로 서버를 세팅하고 싶다면 우분투 netplan 기준 111.222.333.0/24라고 세팅해야 한다.

그럼 만약 서브넷이 255.255.255.1이라면?

255.255.255.1은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1이므로, 이 서브넷은 25비트이다. 즉, 111.222.333.0/25가 된다는 소리. 마찬가지로 비트가 1 올라갈때마다 2진수 형태의 서브넷이 하나씩 늘어난다.

'전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구조 및 원리, GPU와의 비교  (0) 2021.10.28
[Network] QoS 와 MQTT 프로토콜  (0) 2021.07.18
[Network] 네트워크 프로토콜 정리  (0) 2021.07.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