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20.04 LTS 기본 환경 구성
패키지매니저 업데이트 및 기타 패키지 설치
새로 설치한 os에는 패키지 매니저가 default로 깔려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신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sudo su
apt update -y && apt upgrade -y && apt install -y net-tools vim ssh
네트워크 고정 IP 할당하기
우분투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etc/netplan/~ 내부의 yaml 파일을 참조해 구성한다. 예전엔 /etc/network/~ 였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18.04인가 20.04 들어오면서 변경된 것으로 알고 있다.
vim /etc/netplan/~.yaml
# 파일에 추가
network:
version: 2
renderer: NetworkManager # 네트워크 랜더러
ethernets: # 사용할 네트워크 브릿지
ens33: # 랜카드
addresses: {[some.a.ip.address/port]} # IP주소를 적는 칸. 우분투에선 24포트를 많이 쓴다
gateway4: {ip.address.0.1} # 게이트웨이 주소
nameservers: # DNS 서버. 보통 구글에서 제공하는 google.com을 많이 애용한다.
addresses: [8.8.8.8]
그리고 .bashrc 파일을 적용시킬때처럼 따로 이 설정을 적용하는 명령어가 따로 있다.
netplan apply
DNS 설정
DNS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IP를 문자열로 인코딩해주는 일련의 작업이다. 우리가 흔히들 사용하는 주소(google.com, naver.com 등)은 사실 도메인이 실제로 저런 문자열이 아니다. 하지만 네이버가 192.168.1.47, 구글이 192.168.2.147 이런식이라면 얼마나 헷갈리겠는가? 그래서 저 DNS를 통해 주소를 좀더 간편하게 외우게 된다.
# vim /etc/hosts
127.0.0.1 localhost
127.0.1.1 localhost-VirtualBox # VM으로 가상화된 경우
설정파일이니만큼 수정하고싶다면 당연히 sudo 권한을 이용해야 한다. 아무튼 저 파일을 맨 처음 열어보면 저렇게 딸랑 써 있을 것이다. 아마 VirtualBox, VMWare, Hyper-V 등으로 가상화한 OS라면 저렇게 아래에 VM 주소가 한 줄이 더 있을 것이다.
그럼 도메인 네임과 호스트 네임의 차이는 뭐지? 하는 분들은 아래에 아티클 링크를 올렸으니 참고 바란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host name, a domain name and
A fully qualified domain name (FQDN) contains both a host name and a domain name. For a la
www.techopedia.com
어쨌건 저 /etc/hosts에 변환할 IP와 이름을 올리면 끝이다. 예를 들어
# vim /etc/hosts
172.17.1.37 dns1
이런식으로 적었다면 어떨까?
172.17.1.37의 대상이 현재 power on이라는 가정 하에 핑은 제대로 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172.17.1.37 대신 dns1을 적어도 핑이 똑같이 들어갈 것이다. ssh도 마찬가지.
요약하자면, 아래의 주소가 모두 같다는 뜻이 된다.
# 192.168.1.33 host1 에서
192.168.1.33
127.0.0.1
host1
만약 ssh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root@192.168.1.33
root@dns1
root@localhost
가 모두 같은 주소로 리디렉션 된다.